(동해 유전) 산유국 결국 '허상'‥"대왕고래 경제성 없다" 최종 결론 (2025.09.21/뉴스데스크/MBC)

유머/이슈

(동해 유전) 산유국 결국 '허상'‥"대왕고래 경제성 없다" 최종 결론 (2025.09.21/뉴스데스크/MB…

최고관리자 0 53 09.21 20:38

산유국 결국 '허상'‥"대왕고래 경제성 없다" 최종 결론 (2025.09.21/뉴스데스크/MBC)


앵커

지난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갑자기 예정에 없던 브리핑에 나서 동해에 대규모 유전이 있다고 깜짝 발표했던 대왕고래 프로젝트, 기억하시죠?

이후 사업성이 크게 부풀려졌다는 의혹이 잇따랐지만 정부는 석유와 가스를 시추하겠다며 1천2백억 원의 예산을 썼는데요.

결국, 모든 게 허상이었던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났습니다.

시추 결과 가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6%에 불과해서 사실상 그냥 물만 차 있는 거나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동해 대왕고래 구조의 시추 결과입니다.

가스포화도가 6.3%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가스포화도는 해당 공간에서 가스가 차지하는 비율로 나머지 93.7%는 그냥 바닷물이라는 얘기입니다.

시추 전 50~70%를 예상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입니다.

[최경식/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본적으로 20~30% 정도가 있어야만 우리가 개발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라고 평가하기 때문에 그 밑으로 있는 것들은 사실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발견된 소량의 가스조차 산업용으로 쓸 수 있는 열적 기원 가스가 아니라 단순히 생물체가 부패하면서 발생한 가스였습니다.

열적 기원 가스가 없었기 때문에 해당 공간이 석유와 가스를 가두는 '트랩' 모양인지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한국석유공사는 회수 가능한 가스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대왕고래 구조는 경제성이 없다고 최종적으로 확인했습니다.

추가적인 탐사도 추진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포항 앞바다 약 40km 지점의 대왕고래 구조에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를 투입해 47일간 탐사 시추를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쓰인 예산은 1천236억 원이었습니다.

한편, 석유공사는 대왕고래를 제외한 다른 유망구조에 대한 투자 입찰에는 2개 이상의 해외 업체가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예산이 전액 삭감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이 일단 중단 위기는 벗어난 겁니다.

석유공사는 제안서를 검토해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이상민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227 비정상회담 나왔던 수잔의 네팔 혁명에 대한 입장 최고관리자 09:24 11
32226 러닝은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다.jpg 최고관리자 09:17 12
32225 폭망했다는 부산 축제 근황.mp4 최고관리자 09:14 11
32224 일식집에서 본 유케에서 시작한 외래어 쓰지말고 우리말 쓰자 최고관리자 09:10 13
32223 기다릴수 없어 최고관리자 08:57 13
32222 최고관리자 08:55 12
32221 일본식 국뽕 .jpg 최고관리자 08:53 10
32220 남자는 좋아하는 사람을 먼저 쳐다봄 최고관리자 08:50 12
32219 공항에 나타난 소화기 빌런 최고관리자 08:49 10
32218 집사야 밥 내놔라 최고관리자 08:46 10
32217 하루를 편하게 지내기 위해서 최고관리자 08:45 11
32216 사다리를 타고 갑니다 최고관리자 08:42 10
32215 LA에서 아침에 밖에 나갔다가 최고관리자 08:39 13
32214 어느 디저트가게에 손님이 없던 이유 최고관리자 08:38 11
32213 일본여성들이 한국남자에게 끌리는 이유는 최고관리자 08:3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