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유머/이슈

(제주)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최고관리자 0 31 08.24 01:01

[자막뉴스]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 YTN


여름철 제주 바다에서 주로 잡히는 갈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지난해 연안복합어선 갈치 어획량은 약 4천 톤으로 지난 2006년에 비해 절반 이상 급감했습니다.

어획량 감소가 수온 상승과 관련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갈치가 주로 잡히는 수심 20미터 바다 수온 변화에 따른 갈치 어장 분포 현황을 조사했더니,

수온이 21도 내외로 유지되던 2017년, 제주 연안에 갈치 어장이 뚜렷하게 형성됐습니다.

반면, 30도에 육박하는 고수온이 유입된 지난해에는 갈치가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어장이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조업 철인 8월 수온이 27도 이상을 기록한 2016년과 2023년에도 비슷한 현상이 관측됐습니다.

수온 같은 환경 요인이 제주 주요 어종의 어획량과 어장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건 정부 조사에서 이번이 처음입니다.

[유준택 /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관 : 최근 10년간 갈치가 주로 잡히는 8월, 그리고 주로 어획되는 바다 층에서 수온과의 관계를 비교했고, 그 결과 제주 남동쪽에서 27도 이상의 따뜻한 물 덩어리가 들어올수록 어장이 분산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바다 고수온 현상으로 제주 토종 소라의 서식지가 경북 울진 해상까지 확장하고 제주에 남은 소라의 면역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내년부터 제주 연안 60㎞ 이내 해양 생물과 수심별 수온 염분 등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해 어장 변화 추세를 분석할 예정입니다.

김용원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314 부산 길거리 싸움.gif 최고관리자 08.25 16
19313 우리나라 연령대별 인구.jpg 최고관리자 08.25 26
19312 싱글벙글 국산 훈제오리 근황.jpg 최고관리자 08.25 18
19311 벼룩파리는 겪어본 사람만 알지.jpg 최고관리자 08.25 54
19310 김진웅 아나운서 인별 사과문.jpg 최고관리자 08.25 20
19309 드디어 초심을 잃은 디카프리오 최고관리자 08.25 21
19308 대중의 인식보다는 은근히 편하다는 직업...jpg 최고관리자 08.25 16
19307 미우새에 나온 ‘윤시윤’ 의 가정사.jpg 최고관리자 08.25 43
19306 요즘 사람들 배가 많이 나온 이유.jpg 최고관리자 08.25 25
19305 현직 목욕탕 사장이 말하는 여탕문화 최고관리자 08.25 31
19304 공짜는 없는 미국 최고관리자 08.25 23
19303 박자를 갖고 노는 엇박의 신 최고관리자 08.25 24
19302 지금은 이해가 안되는 코로나 이전 공무원 위상 최고관리자 08.25 27
19301 수도권 주요 사창가 근황 최고관리자 08.25 39
19300 홍석천의 아프지만 정말 소중한 기억 최고관리자 08.25 29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13 명
  • 오늘 방문자 1,152 명
  • 어제 방문자 1,544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09,205 명
  • 전체 게시물 54,138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