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6개월 홀드백이 최악의 극장 망하기 법이 되는 이유

유머/이슈

영화 6개월 홀드백이 최악의 극장 망하기 법이 되는 이유

최고관리자 0 5 10.09 18:46







 

🎬 영상 주제

“극장 6개월 홀드백 법안, 과연 누구를 위한 건가?”
(요지: OTT 공개를 법으로 6개월 늦추는 법안은 극장을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작은 영화들을 죽인다.)


🧩 1. 서론 – ‘6개월 홀드백’이란 무엇인가

  • 발의된 법안:
    영화 개봉 후  OTT 공개를 최소 6개월 뒤로 미루도록 의무화 하는 내용.

  • 목적:
    OTT 동시 상영으로 인한 극장 수익 감소를 막겠다는 취지.

  • 용어 설명:
    “홀드백(Holdback)”은
    영화가 극장 → VOD → 공중파 → 케이블 등
    매체 단계를 옮겨갈 때의 **‘유예 기간’**을 뜻함.

  • 과거 배경:
    비디오, 공중파, 케이블이 공존하던 시대의 유산.
    이미 시장 구조가 바뀌었음에도 이를 법으로 강제하려는 시도가 문제라는 시각.


💬 2. 핵심 문제 제기

“영화가 개떡같은데 6개월 기다린다고 명작이 되나?”

  • 2023년  영화진흥위원회 조사 결과

    • 극장 관람 감소 이유 1위: 볼만한 영화가 없음(24.8%)

    • 2위: 티켓값 대비 품질 불만(24.2%)

    • 3위: OTT 등 대체 시청 가능성(16.6%)

  • 즉,  ‘콘텐츠 품질 문제’가 절반 원인 인데,
    홀드백은 이 근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함.


📉 3. 현재 시장 구조 분석

3-1. OTT 동시 상영 증가

  • 최근엔 개봉 1~2주 만에 IPTV(VOD)로 전환되는 경우 많음.

  • 이는  극장과 OTT의 동시 상영이 일반화된 상황 을 보여줌.

  • 정부가 이를 법으로 막겠다는 건  시대 역행 이라는 비판.

3-2. 상영 기간의 현실

  • ‘명량’: 50일

  • ‘범죄도시2’: 61일

  • ‘알라딘’: 105일 (천만 영화 중 최장)

  • ‘날씨의 아이’: 8개월 (국내 최장 상영 기록)

  • 결론: 흥행작은 오래 걸리지만,  비인기 영화는 1~2주 만에 퇴장 .
    → “이런 영화야말로 6개월 상영을 보장받아야 한다.”


💸 4. 산업 구조적 문제 – “홍보비의 함정”

  • 영화 홍보는 대부분  개봉 전후 2~3개월 집중 진행 .

  • 개봉 후 6개월 뒤 OTT 공개 시  새로운 홍보비용이 다시 듦 .

    • 상업영화: 보통 20~40억 홍보비.

    • 예시) 연상호 감독의 ‘얼굴’
      제작비 2억 vs 홍보비 13억 → 총 15억 규모.

  • 따라서 홀드백은
    “추가 마케팅 비용 발생 → 저예산 영화 파산”  구조를 낳음.

  • 결과적으로 대형영화만 유리,  독립·중소영화는 퇴출 .


💡 5. 대안 제시 – “극장 상영 기간 의무화”

  • OTT 공개 제한이 아니라,
    극장 상영 최소기간을 보장하는 법안이 낫다.

  • 예시 정책:

    • 일정 기간 이상 상영 시 제작비 일부를 보조하거나

    • 극장에 세제 혜택을 주는 방식.

  • 해외 사례:
    지역 촬영 시 비용을 돌려주는 **‘로케이션 인센티브’**처럼
    일정 상영 기간을 유지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를 제안.


🏛 6. 산업 현실과 구조적 이해

  • 한국 멀티플렉스 극장은  “백화점·상가의 모객 장치”  역할.

    • 손님이 영화를 보고 나서 쇼핑·식사까지 이어지는 구조.

    • 따라서 극장이 줄면  백화점 매출에도 타격 .

  • 그러나 현재는:

    • 영화 품질 저하 + 티켓값 상승 → 모객 효과 상실.

    • “더현대 서울”엔 극장이 없지만
      대신 팝업스토어·식품관 등으로 젊은층을 유치함.

  • 결론:
    극장이 “사람을 모으는 힘”을 잃었기 때문에
    백화점도, 영화산업도 함께 변해야 함.


⚠️ 7. 법안의 역효과

  • OTT 공개를 늦추면 오히려:

    • 불법 복제·요약 유튜버 시장 이 활성화됨.
      (“결말 포함 요약 콘텐츠”가 수익을 빨아감)

    • 해외 OTT에선 이미 상영 중인 영화를
      한국만 6개월 늦게 공개하는 상황 발생 →
      국내 소비자만 손해 .


🧭 8. 결론

“이 법은 극장을 살리는 게 아니라
작은 영화와 소비자의 자유를 죽이는 법이다.”

  • 홀드백 6개월 의무화 는:

    • 시대착오적 발상이며,

    • 중소영화사에 불리하고,

    • 관객의 선택권을 제한함.

  • 대안은:

    • 상영기간 인센티브,

    • 상영관 다양성 확보,

    • 합리적 OTT 병행 개봉 구조 마련.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71 명
  • 오늘 방문자 447 명
  • 어제 방문자 2,548 명
  • 최대 방문자 3,878 명
  • 전체 방문자 314,096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