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새끼 고라니 사냥한 여우'‥생태계 회복 신호

유머/이슈

(국립공원) '새끼 고라니 사냥한 여우'‥생태계 회복 신호

최고관리자 0 3 13:22

'새끼 고라니 사냥한 여우'‥생태계 회복 신호 (2025.09.26/뉴스투데이/MBC)


앵커

최근 국립공원에서 복원된 여우가 새끼 고라니를 사냥한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야생 생물들이 서로 먹고 먹히는 먹이사슬이 잘 형성돼있는 건강한 생태계가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언뜻 보면 개처럼 생긴 동물 한 마리가 큼직한 먹이를 물고 나타납니다.

복원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붉은여우인데 새끼 고라니 사냥에 성공했습니다.

다른 여우도 쓱 나타나 먹이를 탐냅니다.

위치추적기를 달고 있는 여우가 너구리의 목을 집요하게 노리는 장면도 포착됐습니다.

물론 자기보다 몸집이 큰 성체 고라니에게 쫓기는 날도 있습니다.

아프리카 보호지역이나 해외 다큐멘터리에서나 보던 야생동물의 사냥 장면이 우리나라 국립공원에서도 펼쳐지고 있는 겁니다.

2012년부터 복원 사업이 진행된 붉은여우는 현재 소백산 일대에 70마리 정도 사는 걸로 추정됩니다.

이 여우들이 야생에 적응해 생태계 먹이사슬을 회복시키는 모습이 영상으로 확인된 겁니다.

[김혜리/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책임연구원]
"설치류라든가 새끼 고라니나 노루 멧돼지를 섭식함으로써 자기가 해야 할 중간 포식자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 거죠."

여우뿐 아닙니다.

또 다른 포식자인 삵은 다람쥐를 사냥했고, 담비는 토끼를 쫓습니다.

여우에게 쫓기던 너구리는 양서류인 개구리를 잡아먹습니다.

포식자와 피식자가 균형을 이루는 건강한 생태 먹이사슬이 국립공원에 형성된 모습들입니다.

[주대영/국립공원공단 이사장]
"국립공원의 생태계가 촘촘한 먹이사슬을 형성하면서 앞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현재 국립공원에는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282종 중 194종, 68%가 서식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3302 팔자주름 시술 전 후 최고관리자 18:11 0
33301 닥터 스트레인지 최고관리자 18:11 0
33300 우리 집 가서 술 한잔할래요_.mp4 최고관리자 18:04 0
33299 재회는 사실 여자가 하려고 하는 것이다.mp4 최고관리자 18:02 0
33298 야근의 최후. 최고관리자 18:00 0
33297 다 보여.mp4 최고관리자 17:59 0
33296 고추망태_ 고추따러 갔다가 꽐라됨.mp4 최고관리자 17:58 0
33295 (빡침주의) 보조석 진상들에게 경고(하고싶다).mp4 최고관리자 17:55 0
33294 양쪽에 중국 vs 양쪽에 일본 최고관리자 17:50 0
33293 도로 위의 파운딩 최고관리자 17:46 0
33292 대한민국을 바꾼 전설의 댓글.jpg 최고관리자 17:46 0
33291 원드라이브 쓰면 안되는 이유 최고관리자 17:41 0
33290 현지인은 무섭다는 성심당.jpg 최고관리자 17:36 0
33289 女동상 가슴 "그만 만져" 최고관리자 17:36 0
33288 구글 네이버 카카오 AI 차이 최고관리자 17:3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