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마침표를 찍은 관세 협상에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었다며 자화자찬했지만, 경제 전망은 그렇지 않습니다.
예일대 예산연구실 분석에 따르면 새 상호관세까지 반영한 결과
미국의 평균 유효 관세율은 올해 초 2.4%에서 18.3%까지 치솟았습니다.
대공황 시기인 1934년 이후 91년 만에 최고 수준입니다.
올해 미국의 물가도 1.8% 오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일수록 타격은 더 큽니다.
신발 가격은 40%, 의류는 38%까지 오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내년까지 매년 0.5%P 낮아져
2024년 달러 기준으로 연간 170조 원 손실이 예상됩니다.
산업 전반의 생산이 위축되면서 일자리 약 49만 7천여 개가
사라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결국 트럼프 관세 정책의 희생자는 미국 소비자들이라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번 수익을 미국민들에게
배당금 형태로 환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